Kiaf.org는 Internet Explorer 브라우저를 더 이상 지원하지 않습니다. Edge, Chrome 등의 최신 브라우저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우리는 왜 달항아리에 매료되는가 III 시대의 눈 : 해석된 달항아리

2022. 6. 3 – 6. 28
권현진, 김덕용, 도상봉, 승지민, 아트놈, 이상협, 이용순, 이이남, 이종기, 정현숙, 찰스장, 최영욱, 하태임

하태임, 달항아리, 100x100cm, Acrylic on canvas, 2022

1300도 가마에서 일어나는 때와 불의 조화, 신의 손으로 만들어진 아름다움이라 불리우는 이조백자 달항아리는 시간이 흐르고 흘러 오늘날의 수많은 작가들에게도 영감을 주고 한국적 조형미의 극치로 평가받고 그 있다.

좌) 찰스장, 해피하트 in 달항아리, 72.7×60.6cm, Spray paint on canvas, 2022 우) 아트놈, 달과 토끼, 72.6×60.6cm, Acrylic on canvas, 2022

그 달항아리를 너무나 좋아해서 “그의 심미안은 달항아리로 시작되었다”는 김환기화백은 그것에서 따뜻한 온기를 느끼며 한국의 산천과 달, 매화, 여인들을 함께 그렸다. 그 이후 달항아리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작가들의 작품에 등장하고 수많은 미술애호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이종기, 달항아리 1, 100x100cm, Acrylic on canvas, 2022
김덕용, 玄-우주를 품다, 128x122cm, (mother of pearl) carbonization on wood, 2022

”무더운 여름 한 줄기 소나기를 내리고 저쪽 하늘에 다시 피어오른 눈 같은 뭉게구름과 큰 바다와 호수와 강가 겨울산과 바람을 생각하기도 한다.”고 정양모 관장이 표현했던 백자대호 달항아리, 소박한 어깨에 당당한 굽, 둥근 팔각에서 오는 편안함, 거기에 풍만함과 준수함은 어떤 것도 품을 수 있는 군자의 마음을 지녔고, 시작 끝의 개념을 모두 함축된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다.

최영욱, karma20225-53, 120x110cm, Mixed media on canvas, 2022

이러한 달항아리는 우리나라 고유의 정체성을 보여줌과 동시에 가장 평범하고 단순한, 기교를 부리지 않은 비정형의 형태가 품은 너그러움과 넉넉함이 한국민의 정서와 깊이 맞닿아 있다.

 

좌) 이용순, 백자달항아리, 55x48cm, Ceramic, 2021 우) 이상협, new icicle, 20x20x20cm, silver, 2022

둥근 형태에서 느껴지는 편안한 에너지로 인해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달항아리. 한국적 아름다움의 정수 달항아리, 이에 대한 현대적 시선을 가진 작가들은 달항아리를 어떻게 해석할까? 갤러리나우는 현재 화단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다양한 작가들이 해석한 달항아리에 대한 시선을 살펴 보는 전시 <우리는 왜 달항아리에 매료되는가 _ 시대의 눈 : 해석된 달항아리>展을 마련했다.

이이남, 달항아리 풍경, 90.5x152x15cm, 65inch LED TV, single-channel video, color, sound, Running time 19min 43sec, 2009
정현숙, Before and After, 70x70cm, Oil and mother of pearl on canvas, 2022

갤러리나우는 2020, 2021년 2회에 걸쳐 <우리는 왜 달항아리에 매료되는가>전을 열어서 많은 관심을 받은 바 있다. (참여작가 : 강익중, 고영훈, 구본창, 김덕용, 김용진, 석철주, 최영욱, 신철, 김판기, 이용순, 오만철. 전병현… )
2022 세번째 <우리는 왜 달항아리에 매료되는가 _ 시대의 눈: 해석된 달항아리>展은 이 시대에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여러작가들이 달항아리를 각각의 심미안으로 재해석한 작업들을 보여준다.

승지민, Genesis of Life II(Cell Division), 30x32cm, Overglaze painting on porcelain, 2021
권현진, VISUAL POETRY X MOON JAR, Mixed Media on Canvas, 76 X 76cm, 2022

권현진, 김덕용, 아트놈, 이상협, 이용순, 이이남, 이종기, 정현숙, 챨스장, 최영욱, 하태임등 작가들에 의해 박물관에서 문화재로 있던 그 달항아리는 이 시대의 아티스트의 시선을 통해서 시대적이 해석이 더해져서 각기 다른 모습으로 새롭게 재탄생 되는 자리이다. 아울러 자신의 호를 도천(陶泉·‘도자기의 샘’이라는 뜻)으로 지을 만큼 도자기를 사랑했던 도상봉(1902~1977)의 작품도 볼 수 있다.

도상봉, 개나리, 53×45.5cm, Oil on canvas, 1975

갤러리나우
서울시 강남구 언주로152길 16
02-725-2930

WEB     INSTAGRAM      Youtube      Artsy

 

Share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