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af.org는 Internet Explorer 브라우저를 더 이상 지원하지 않습니다. Edge, Chrome 등의 최신 브라우저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응시와 간극

왕에스더

전시 전경 (1)

왕에스더의 회화는 풍경을 다루지만, 그것은 우리가 ‘바라보는’ 대상이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우리를 바라보는 풍경, 즉 응시의 대상이자 주체로 존재한다. 작가는 그 풍경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응시하고 머무는’ 방식으로 마주한다. 그리고 그 응시 사이에 놓인 거리, 그 간극이야말로 이 회화의 핵심적 정서이자 조형적 리듬이다.
 
전시 전경 (2)
 
이번 개인전 〈응시와 간극〉은 외부 세계로서의 자연, 혹은 풍경이 아닌, 내면으로 전이된 시선의 공간을 다룬다. 그녀의 화면은 평면적이고 고요하다. 구성은 정제되어 있으며 색면은 단단한 동시에 섬세하다. 그러나 이 정적이고 추상화된 장면 속에는 다층적인 감정의 파동이 숨겨져 있다. 마치 멀리 있는 장면을 천천히 바라보듯, 작가의 회화는 감정을 강요하지 않고, 시간을 두고 스며들게 만든다.
 
전시 전경 (3)
 
왕에스더는 회화 속 시점을 ‘구성’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시점과 화면 사이에 놓인 정서적 거리감을 끝없이 탐색한다. 그것은 물리적 원근이 아니라, 감정의 거리이며, 보는 이의 마음에 따라 가까워지기도 멀어지기도 한다. 이 간극은 때로는 보이지 않는 공기처럼, 때로는 응시하는 눈의 온도처럼 화면 속에 존재하며, 보는 이로 하여금 그 사이를 ‘머무르게’ 만든다.
 
전시 전경 (4)
 
〈응시와 간극〉은 결국 하나의 회화적 질문이다. 무언가를 ‘본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우리는 과연 풍경을 있는 그대로 인식할 수 있는가, 아니면 우리의 감정이 그 풍경을 조용히 변형하고 있는 것일까? 작가는 이 질문을 응답 없이 열어둔 채, 오히려 그 열려 있는 틈 자체를 하나의 장소로 제안한다. 보는 이들은 그 틈을 통해 자신만의 감각을 이입하고, 자신만의 풍경을 완성하게 될 것이다.
 
전시 전경 (6)
 
갤러리 다선
경기도 과천시 양지마을4로 44-18 (과천동)
02-502-6535
Share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