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23 – 6. 7 | [GALLERIES] Arario Gallery Seoul
구지윤
전시 전경 (1)
아라리오갤러리 서울은 2025년 4월 23일(수)부터 6월 7일(토)까지 구지윤(b. 1982) 개인전 《실버》를 연다. 구지윤은 일상에서 마주하는 서울의 도시 풍경으로부터 추출한 인상과 정서를 추상회화의 언어로 번안하는 작업을 지속해왔다. 그는 끝없이 솟아나고 무너지기를 반복하는 건물과 도로, 갖가지 인공 구조물이 밀집한 도시의 속성에 생물학적 유기체의 모습을 투영하여 본다. 생성과 소멸을 거듭하는 유기적 존재들처럼 언젠가 기억 속에만 남게 될 도시의 운명을 연민하는 것이다. 이번 전시는 구지윤이 아라리오갤러리에서 4년 만에 개최하는 개인전으로, 그가 최근까지 제작한 근작 및 신작 회화 21점을 선보인다. ‘실버’라는 열쇠말 아래 도시의 시간성을 회화의 언어로 풀어낸 다채로운 결과물들을 만나볼 수 있다.
구지윤, 균열을 따라 읽기, 2024, 캔버스에 유채, 227.3 x 181.8 cm
구지윤이 바라보는 서울은 회색과 은빛 주조의 풍경이자, 켜켜이 중첩된 시간의 지층을 품은 회화적 대상이다. 은빛은 색(色)의 세 가지 속성인 명도, 채도, 색상 가운데 명도의 차이만을 지니는 무채색의 본질에 기반하지만 주위의 빛을 찬란하게 반사하는 성질을 지녀 무광의 회색과 전혀 다른 종류의 정서적 움직임을 불러일으키는 빛깔이다. 회색이 도심 속 오래되어 사라지는 것들 위에 덧씌워진 고층 건물의 표면을 떠올리도록 한다면, 반짝이는 은빛은 한강 위 물비늘이 품은 무언의 생명력을 연상시킨다. 도시의 은빛은 구지윤에게 있어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 지워진 것과 남겨진 것 사이를 떠도는 빛”이다.
구지윤, 거미줄, 2024, 리넨에 유채, 40.9 x 31.8 cm
전시명인 《실버》는 주제로서의 도시와 매체로서의 회화 양측에 내재한 ‘빛’과 ‘시간’을 동시에 상징한다. ‘실버’는 대상의 표면에 맞닿은 빛을 반사하여 보는 자에게 되돌려주는 매개체이자 투영체이다. 그것은 은빛 자체를 지시하는 단어라기보다, 모든 색에 ‘빛’과 ‘시간’의 속성이 내재하여 있다는 사실을 환기하는 상징이다. 회화의 화면 위에 중첩된 다양한 색들은 제각기 다른 파장을 지닌 빛의 편린이다. 서로 다른 물리적 성질에 의하여 반사된 빛은 우리의 시각 체계에 의하여 때로 찬란한 유채색으로, 또는 고요한 무채색으로 포착된다. 대상을 경유하여 색으로 되돌아온 빛은 보는 자의 감정과 정서에 관여하는 심미적 요소로서 거듭난다.
구지윤, 빈티지, 2025, 캔버스에 유채, 290.9 x 218.2 cm
빛깔로서의 ‘실버’를 포함하여, 모든 색을 시지각적으로 인식하기 위하여서는 반사체로서의 대상이 머금은 빛을 다시금 풍경에 되돌려주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시간은 구지윤의 작품세계를 구축하는 또 하나의 중심 개념이다. 그는 물감의 층위를 쌓아 올리는 붓의 움직임에 도시의 시간성을 투영한다. 색이 쌓이고 묻히기를 거듭하는 회화의 과정 속에서, 화면은 “시간이 스며든 장(場)”으로서의 정체성을 획득한다. 《실버》라는 전시명과 <빈티지>(2025), <파티나>(2025), <빛바랜 실버>(2025), <화석>(2025) 등의 작품명은 저마다 ‘시간의 축적’과 ‘나이 듦’의 감각을 환기한다. 수많은 것들이 바삐 지어지고 금세 사라지는 오늘날 도시의 생태 가운데, 어떠한 대상과 존재들은 오래도록 같은 자리에 머물며 나이 들어 간다. 기억과 역사를 켜켜이 품은 사물과 장소, 사람들은 그 ‘시간’을 반사하여 세상에 되돌려줌으로써 더욱 찬란하게 빛나는 존재로 거듭나기도 한다. 오래되고 낡은 것을 연상시키는 낱말들은 구지윤의 화면 위에서 ‘소멸’이 아닌 ‘축적’을 지시한다. 전시의 출품작들은 회화의 언어로 묘사된 대상들이 각자 어떠한 시간을 반사하고 투영하는지, 그럼으로써 어떻게 인지되는지에 관한 탐구의 결과물이다. 구지윤에게 회화란 ‘감각의 기록’이자 ‘시간의 보존 수단’이며 “사라진 것들이 화석이 되어 미래로, 현재로 되돌아오는 것처럼, 현재의 것을 기록하고 견고하게 물질화하여 내일 혹은 더 먼 미래로 보내 그것을 다시 보고 싶은 마음”에서 비롯되는 행위이다.
전시 전경 (2)
아라리오 갤러리 서울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85 03058
+82 2 541 5701
WEBSITE INSTAGRAM FACEBOOK YOUTUBE ARTS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