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af.org는 Internet Explorer 브라우저를 더 이상 지원하지 않습니다. Edge, Chrome 등의 최신 브라우저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환영의 정원

김미라

김미라_낯설고 흔들리는 Unfamiliar and Shaky_91x117cm_acrylic on canvas_2023

김미라가 표현해 낸 형상은 사실적이면서 추상에 가깝다. 외형이 있지만 정확히 보여주지 않는다. 안과 밖의 구별이 불분명한 경계를 가지며 기하학적인 면에서 사물들이 등장한다. 투명하게 번지는 색채를 사용하여 안을 들여다볼 수 있게 만드는 구성이 작업의 매력이다. 그런 작가가 이번엔 식물의 형상을 들고 나왔다. 아름답게 화면을 채우기 위해 잎은 섬세하게 선이 모이고 색은 겹치면서 또 다른 색을 보여준다. 공간의 형성보다는 보다 가깝게 평면에서 추상적으로 나타난다. 반복되지만 모호하게 잎은 여기서 기억을 환기시킨다. 오랜 시간 일관되게 주장해 온 소재로 기억은 포괄적이지만 분명하게 때로는 불분명한 성격이 있다. 화려한 색채가 있지만 현란하지 않으며 몽환적인 느낌에서 장면이 연출된다. 자연스레 흐르는 시간처럼 이렇다 할 결론 없이 작가는 잎을 그려 넣는다.

김미라_손짓들 Gestures 97x130cm_acrylic on canvas_2023

전작이 공간의 깊이감을 비틀어 기리코(Giorgio de Chirico)의 작품처럼 초현실 성격에서 무엇이 나타났다면 최근에 발견된 식물은 현실적 느낌이 강하다. 겹치고 교차되는 시선 속에 어떤 것을 덮어버리는 일로서 숨김과 감춤이 있다. 어느 날 찾아오는 감성으로 형상이 구사되지만 근접할수록 다른 것을 연상하게 만드는 것이다. 특별한 양식이나 틀도 없는 것이 현대회화의 매력인 것처럼 화면은 물감층을 전제로 장면을 선사한다.

김미라_경계이자 경계 아닌 Boundary and No Boundary_162x 139cm _acrylic on canvas_ 2023

기억으로 여겨지는 표현은 있지만 재현은 잘 드러나지 않는다. 담담한 시선 속에 표상적 사물을 만들어내는 과정이며 베르그송(Henri-Louis Bergson)의 물질과 기억은 여기서 시간의 지속성을 전제로 한다. 당시의 기억을 불러오지만 정확한 연결보다는 시간의 흐름을 전개시키는 양상이다. 순간 떠오른 기억이 현재 본인의 심리상태와 연결 되고, 하나의 지속적인 존재로서 자신의 삶을 확인받고자 한다.

김미라_적층 Layering_ 162 130cm_ acrylic on canvas_2023

작가의 식물은 과거를 거슬러 올라가는 여행이며, 재구성된 기억은 본인의 삶을 창조하는 수단이 된다. 삶이 지속된다는 증명으로 잠시 잊었다가도 어느 날 기억으로 등장하는 것이 그러한 이미지들을 통해 순간들을 확인하는 희열이 이런 창작 활동을 만들게 했다. 갈수록 빠르게 변화되는 세상 속에서 인간은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갈등하기 마련이다. 기억은 이 두 의미 사이에서 얼마만큼의 비중을 차지할까. 삶이 있는 한 반복되며 어쩌면 자신이라는 존재를 확인받는 유일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갤러리도올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87
02 739 1405, 6

WEB     INSTAGRAM

Share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