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af.org는 Internet Explorer 브라우저를 더 이상 지원하지 않습니다. Edge, Chrome 등의 최신 브라우저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나선(螺旋, Gyre)

이영철 예술감독

제59회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전시의 주제는 〈나선Gyre〉이다. 이 주제는 김윤철 작가가 제안한 것으로,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의 대표 시 중 하나인 「재림The Second Coming」의 첫 구절, “나선처럼 점점 넓어지는 원을 그리며 빙빙 돌다보니, 매는 매부리의 소리를 들을 수 없다”에 나오는 단어이다. 예이츠는 과거 문명이 물러나고 새로운 문명이 시작되는 격렬한 움직임을 두 원뿔이 교차하여 발생하는 나선의 이미지로 그려냈는데, 중앙통제소가 부재하게 되는 세상의 더 큰 소용돌이가 임계 영역에 대한 새로운 감각과 사용법을 일깨워준다.

김윤철 작가에 의하면 나선은 안과 밖을 서로 가두지 않으며, 어떠한 이항적인 대립들과 의식마저도 하나의 사건으로 얽히게 한다. 그는 나선은 때로 경계를 넘어 샅샅이 흩어지거나 한 지점으로 체화體化되는 소용돌이 와도 같으며, 나선은 이렇듯 연속과 단절, 안정과 불안정, 멈춤과 운동 등이 그 축을 중심으로 서로를 연루시키며, 안정적이고 균질한 원의 평면으로부터 들떠오르는 카오스적 사건을 주관한다고 말한다. 소용돌이의 중심은 무한한 흡입력만 발휘하는 하나의 검은 태양이다. 조르조 아감벤은 이렇게 말한다. “소용돌이는 그 자체로 존재할 뿐이지만 고유의 액체는 한 방울도 갖지 않는다. 소용돌이는 절대적으로 비물질적이다.”

백 개의 눈을 가진 거인 – 부풀은 태양들 (Argos-the Swollen Suns), 뮤온 입자 검출기, 2022, 389x210x180cm가이거 뮐러 튜브, 유리, 알루미늄, 마이크로 컨트롤러

한국관의 본 전시는 ‘부풀은 태양’, ‘신경’, ‘거대한 야외’라는 세 주제가 보로메오 매듭처럼 서로 연결된다./얽혀있다. 온갖 지구생활자들을 함축하고 있는 외골격, 갑각, 또는 분절체와 절지로 된 김윤철 작가의 키네틱 오브제들에서는 카프카적 변신이 또 한 차례 새롭게 일어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레고르가 털로 덮힌 여섯 개의 절지를 딛고 다시 일어나는 것처럼 마침내 제대로 움직이는 일, 그리고 격리-봉쇄-속박에서 스스로를 구출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일일 수 있다. 그의 독창적인 기계들을 이해함에 있어 이안 보고스트의 『에일리언 현상학』은 다음과 같은 물음들을 통해 그 요점을 짚어준다. “그의 기계는 어떤 흐름에 구조적으로 열려있는가? 그 기계는 그런 흐름을 어떻게 조직하는가? 그 기계는 자신을 관통하는 이 흐름에 어떤 조작을 수행하는가? 세계는 이 기계에 대해 어떠한가?”

불꽃 (Flare), 키네틱 유체 설치 2014, 165x110x110cm 플레어 용액, 모터, 마이크로 컨트롤러, 이중 유리 반응조

가공물, 공학적 수완, 발명의 자유 아니 발명의 의무. 한때 그저 바람, 대기, 푸른 하늘, 시원한 바 다라 여겨졌던 것들에서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다시 묶는 고유한 야금술을 재발견할 수 있다는 깨달음은 얼마나 귀하고 놀라운 충격인가? 한국관 내부는 우리의 행성 지구를, 그리고 그 너머는 우주를 암시한다. 방문자들은 인간 행위자뿐 아니라 비-인간 행위자들(동식물, 대기, 땅, 바다 등) 을 아우르는 지구생활자들이며, 그들이 이 공간의 주인이다. 결코 작다고만 여길 수 없는 한국관은 로마 변경 요새 지대 라임스를 암시한다. 그가 여는 길은, 관객들이 주의 깊은 응시에 따라 현상을 통해 가장 드넓은 세계로 접근하는 카펫이 된다.

채도 V (Chroma V), 2022, 235x800x225cm 크로마틱 키네틱 설치폴리머, 알루미늄,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모터, 마이크로 컨트롤러, LED

나선螺旋. 무한한 열림과 무한한 함몰 속에서 에너지는 바다의 공허한 중심을 향해 모여든다. 나선의 끝은 그 중심만큼 강한 힘으로 주변의 모든 물질을 끌어 모으고, ‘소용돌이’는 끝을 알 수 없이 확장된다. 마침내 나선의 매듭이 풀릴 때, 새로운 소용돌이가 나타난다. 나선의 끝과 시작이라는 이 흐릿하고 부풀어오르는 경계 위 멈춤 속에 운동이 있고, 운동 속에 멈춤이 있다(정중동靜中動 동중정動中靜).

충동 (Impulse), 2018, 230x200x200cm 비맥동 펌프, 솔레노이드 밸브, 마이크로 컨트롤러, 아크릴, 알루미늄

미로로서의 세계를 생각해보자. 태양계의 행성들이 고유의 나선 운동을 하는 동안, 거듭되는 파도 위에서 오로라는 태양풍의 폭발과 함께 나타난다. 넘쳐나는 파도, 흩어지는 먼지들, 지구 표면의 대류, 나무 사이를 지나는 수많은 빛의 파편들, 바닷가의 느린 소용돌이들 속에서 우리는 크고 작은 나선과 소용돌이를 본다. 생과 사. 어디에서나 순환은 존재하고, 한 장소에 머무르지 않고 끝없이 휘감겨 얽힌 연결고리들은 사물이 되며, 세계의 세계되기 안에서 사물은 사물되기를 한다.

태양들의 먼지 (La Poussiere de Soleils), 2022, 260x150x100cmLPDS 용액, 아크릴, 모터, 마이크로 컨트롤러

이번 전시에서 김윤철 작가는 한국관을 ‘얽힘의 몸’으로 상상하며, 발화發話의 대상이 아닌, ‘물질들의 실재mattereality’로서의 ‘물질’이라는 파타피지컬한 접근을 통해 사물들의 ‘장소없음’을 구현한다. 불꽃 같은 유체의 소용돌이, 마이크로 튜브 안을 사이를 하강하는 바닷물, 거대한 매듭과 같이 이름 없는 사물들과 물질들은 우주적 사건들과 함께 얽힌다. 우리의 몸, 감각, 의미, 물질, 비물질, 기계, 비인간, 사건, 그리고 바깥 세계는 끝없이 상호작용한다. 그러하기에 그것들의 잠재성은 문화적·사회학적 가치의 경계를 횡단하며, 모든 것은 새로운 지평선으로 융합된다.

Share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