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af.org는 Internet Explorer 브라우저를 더 이상 지원하지 않습니다. Edge, Chrome 등의 최신 브라우저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물질 너머에 이르다

박석원

Park Suk Won, Accumulation – 241104, Korean paper on canvas, 110 x 110 cm, 2024

박석원은 반복과 축적, 쌓기와 겹침이라는 행위를 통해 세계를 구축해나간다. 이는 단순한 구조적 조립이나 형식적 배열이 아니다. 1970년대부터 지속해온, 돌이나 철판을 절단하고 다시 결합하는 입체 작업은 물론 한지를 찢고 캔버스 위에 다시 바르는 최근의 평면 작업에서 보이는 행위는 시간성과 공간성을 함축하는 동시에 재료의 물성을 드러내는 원초적 몸짓이다. 이렇듯 쌓기의 행위와 물질의 응답이라는 두 힘이 교차하는 자리에서 태어난다.

Park Suk Won, Accumulation – 250425, Korean paper on canvas, 91 x 117 cm, 2025

‘積’ 혹은 ‘積意’라는 명제로 50여 년간 지속되고 있는 ‘쌓기’ 작업은 구조적으로 보면 탑이나 기념비적 형식으로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박석원에게 쌓기란 완결을 향한 것이 아니라 계속되는 생성의 상태, 다시 말해 진행 중인 존재의 리듬에 가깝다. 층층이 겹쳐 쌓는 행위는 동일한 것의 되풀이가 아니라 들뢰즈가 말한 ‘차이의 반복’처럼 매 순간 새로운 균형과 미묘한 차이를 만들어내는 생성적 운동이다. 최근 작업에서 보이는, 한지를 찢어 캔버스 위에 층층이 재배열하는 방법론은 조각의 ‘수직 쌓기’와 대응되는 ‘수평 쌓기’라고 할 수 있다. 한지 위에 일정하게 연필로 그은 직선의 질서정연함과 자연스럽게 찢어진 한지의 유연함의 대비 또한 기하학적으로 재단된 철이나 돌을 자연스럽게 절단해낸 부분들의 대위법적 효과를 통해 질료성을 강조한 조각 작업과 동일선상에 있다. 

설치 전경 (1)

이번 전시는 박석원의 작업에서 겹쌓기의 행위와 물질의 질료성, 그리고 한지라는 한국적 감각의 매개체가 어떻게 서로를 규정하고 견인하면서 하나의 세계를 구축해 가는지를 조명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그는 조형 이전의 감각, 의미 이전의 물질, 형상 이전의 구조로부터 어떻게 존재가 발생하고 구성되는지를 묻는다.

설치 전경 (2)

시멘트, 철판, 석고, 한지 등의 재료가 만나 단순한 재료를 넘어 세계의 층을 이루는 단위가 되고, 기억과 시간, 몸과 정신이 함께 새겨진 질료로 도약한다. 그는 재료를 쌓고 겹치면서 우리 모두의 내면에 각인된 무언의 감각과 기억의 지층을 하나씩 되살린다. 그 층은 단단하지만 푸근하고, 정제되어 있지만 생생하다. 박석원의 조형은 그렇게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의 틈을 열어 우리를 잃어버린 감각의 세계로 초대한다.

김이순(전 홍익대학교 교수/미술사)

송아트갤러리
서울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188, 아크로비스타 아케이드 B133
82 2 3482 7096

WEB  INSTAGRAM

Share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