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September 2024 | PM 16:30-17:30
1970년대 이후 페미니스트 비평가와 미술사학자들은 미술사 정전(art history canon)을 재정의하여 “위대한 여성 예술가들”의 기여를 포함시켰다. 그러나 아시아 및 아시아계 디아스포라 맥락 등 전 세계적으로 여성 예술가의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아직도 해야 할 일이 많이 남아있다. 이 패널은 아시아 여성 예술가들의 작품과 경험을 중심으로 전시, 출판, 아카이빙을 통해 새로운 미술사를 만들어가는 국제적 큐레이터 및 미술사학자들을 초대한다. 배명지는 11개국 출신 아시아 여성 예술가 65명의 주요 작품을 초국가적 관점으로 조망하는 단체전 《접속하는 몸: 아시아 여성 미술가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전시 중)에 대해 논의한다. 김홍희는 한국의 페미니스트 운동과 관련된 예술과 정치의 교차점을 다룬 자신의 저서 『한국의 페미니스트 예술가들: 대립과 해체』(Korean Feminist Artists: Confront and Deconstruct) (Phaidon에서 출간 예정)에 대해 이야기한다. 클라라 킴은 제2차 세계대전 중 투옥되었던 일본계 미국인 예술가 세대와 더불어 여성 예술가 4명의 삶과 작품을 살펴본다. 오즈 엘소이는 페미니스트 접근 방식이 아시아 아트 아카이브(Asia Art Archive)의 아카이빙 작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견해를 나눈다.
Since the 1970s, feminist critics and art historians have redefined the art historical canon to include the contributions of “great women artists.” Yet, much work remains to increase the visibility of women artists globally, including in Asian and Asian-diasporic contexts. This panel invites an international group of curators and art historians who are crafting new art histories-through exhibitions, publications, and archival practices-that center the works and experiences of Asian women artists. Myung Ji Bae will talk about her group exhibition Connecting Bodies: Asian Women Artists (currently on view at MMCA Seoul), which takes a transnational look at key works made by 65 (about 60) Asian women artists from 11 countries; Kim Hong-hee will speak to her book Korean Feminist Artists: Confront and Deconstruct (forthcoming from Phaidon), which focuses on the intersections between art and politics as it relates to the feminist movement in South Korea; Clara M Kim will discuss the lives and works of four women artists alongside a generation of Japanese American artists who experienced WWII incarceration; and Özge Ersoy will share how a feminist approach can shape archival work in the context of Asia Art Archive.